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너희가 꿈꾸던 그 시간에 나도 꿈꿨어, 두 눈을 똑바로 뜬 채.” 래퍼 우원재의 노래 ‘시차’의 일부다. 본인의 성공은 남들이 시간을 아껴 꿈을 위해 정진했기 때문이라는 내용이다. 이처럼 분야를 막론하고 성공한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성공 비결로 노력을 꼽는다. 자신이 남들보다 더 노력했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믿는 것이다. 그런데 정말 내가 제일 노력했기 때문에 성공한 것일까? DBR 240호에 실린 기사를 통해 알아보자.
누구라도 자신이 제일 열심히 했다는데..
실력과는 상관 없이, 운동 선수 가운데 자신이 보통 선수보다 운동을 적은 편이라 생각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딴 선수가 “나의 노력이 부족했던 것이 금메달을 놓친 원인입니다”라고 하는 것은 드물다. 그러나 전체를 보면 사실일 리가 없다. 왜냐하면 선수들의 평가를 모두 모아 보면 이런 말이기 때문이다. “모든 선수는 모든 선수보다 더 열심히 운동했다.”또는”모든 선수의 훈련량은 전체 선수의 평균 훈련량보다 높은 “이란 단순히 산술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그럼 왜 이렇게 운동 선수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연습하고 노력했다고 생각할까? 선수들이 자신의 노력을 과대 평가하고 다른 선수들의 노력을 과소 평가하는 이유는 가용성 발견술적(availabilityheuristic)에 있다. 가용성 휴리스틱은 쉽고 신속하게 생각 나는 근거를 먼저 쓰고 평가하고 결정을 내리는 방식이다. 이는 신속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문제는 정확한 평가와 결정을 위해서는 즉시 부상하는 근거만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즉각 떠오르는 생각이 타당한 근거로 아닐지도 모른다. 다른 근거와 비교를 통해서만 정확한 결론에 이르는 평가와 결정이 많다는 것도 문제다.운동 선수의 노력량에 대한 자기 과대 평가는 가용성 휴리스틱을 사용해서는 되지 않는 경우에도 반 자동적으로 사용한 가용성 오류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가장 열심히 한”나 ” 다른 선수보다 더 잘했다”다는 믿음은 자신의 노력량과 다른 선수의 노력량에 대한 2가지 정보를 모두 갖고 있을 때만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두 종류의 정보는 가용성 면에서 대단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누구나 자신이 연습하고 고생한 것은 하나하나 빠짐없이 기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다른 선수들이 땀을 흘리며 운동하는 모습은 본 적조차 없는 가능성이 높다. 같은 팀 선수 또는 함께 운동하는 선수가 있다면 다른 선수의 노력량도 잘 알잖아요? 그렇지도 않다. 함께 운동하고 있다고 해도 결국 자신을 중심으로 모든 경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신과 다른 선수에 대한 정보의 생성량 자체가 크게 다른 수밖에 없다.또 평가는 이용 가능한 기억 또는 인상을 가지고 실시하는 것이다. 더구나 그래도 어느 정보도 다른 선수에 대한 것보다는 자신에 대한 것이 더 생생하고 쉽게 기억할 수 있어 가용성으로 큰 차이가 있다. 자신의 노력량은 빠짐없이 모두 처리하고 저울질하지만 다른 선수들의 노력량은 주위에서 두드러질 것만 대충 모아 반대쪽 접시에 올리는 것이다. 그래서 자신의 노력을 모으는 것이 다른 선수의 노력을 모은보다도 항상 무겁게 보이는 것은 당연하다. 가용성 장애에 의한 문제
이러한 가용성 장애에 의한 자기 노력 과대 평가를 경계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스포츠에서 잘 보인다”천재 신화”가 그 중 하나일 것이다. 제가 성공하면 다른 사람보다 열심히 노력했기 때문이지 다른 사람이 성공한 이유는 타고난 재능 때문이라고 말이다. 이런 천재 신화는 자신의 노력을 과대 평가하는 것 자체도 문제지만, 성공과 실패, 또는 승패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기에 더 큰 문제가 있다.
“내가 상대보다 더 노력했기 때문에 나는 되도록 한 것이다. “상대가 더 재능이 있어서 이긴 것을 내가 어쩌자는 것인가?”이런 생각 때문에 노력을 가한 것인지 적었는지도 정확히 모르고 운동을 효과적으로 열심히 배웠는지, 무작정 열심히 했는지도 따지지 않는다. 더구나 이런 천재 신화는 “나는 노력해서도 안 된다”라는 무력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어차피 안 되니까 나는 최대한 맡아서 좋다고 포기할지도 모른다. “이번에는 내가 상대보다 조금 노력하지 않았다”나 “나의 노력의 질에 문제가 있었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동기화에 효과적이지 않을까?가용성 오류 한가지 문제는 팀 스포츠에서 드러난다. 가용성 오류로 인하여 선수들은 자신의 팀을 위한 노력 또는 공헌이 실제보다 크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팀 기여도는 총합이 100%를 초과할 수 없다. 그러나 각 선수의 팀 또는 승리에 기여 비중을 스스로 평가하면 종합이 항상 100%를 넘어서게 된다. 경기에 이겼을 때만이 아니다. 경기에 졌을 때도 자신의 탓이라며 선수들의 인터뷰를 잘 본다. 이는 겸허하게 보이려고만 하는 것은 아니야. 이기든 지든, 자기 플레이에 관한 정보가 가용성이 높기 때문에 내가 경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더 크게 느끼다. 이런 본인 공헌에 대한 과대 평가는 다양한 불만과 갈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결과도 보상도 남의 인정도 자신이 기여한 만큼 얻는다고 느낄 수 없기 때문. ● 기업에서 가용성 오류를 줄인다
기업에서 팀 단위의 프로젝트를 할 때도 마찬가지다. 프로젝트에 투자한 노력과 공헌의 자기 평가의 종합은 항상 100%를 훨씬 넘는다는 것은 예상하기 어렵지 않다. 한편 같은 팀 내 다른 멤버의 기여도를 평가하고 보라고 하면 비교적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 그 합계는 100%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기업에서 승진이나 성과급에 만족하는 사람보다 만족 못하는 사람이 많은 것도 그리 놀랄 일은 없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로 보상을 분배했다고 해도 많은 사람은 자신이 기여한 만큼 보상을 받지 못했다고 느낀다.
다행히 해결책은 있다. 02년 노벨 경제학 상 수상자인 다니엘·카ー네망(Daniel Kahneman)은 “대부분의 판단과 결정 실수는 인간이 통제하는 것이 불가능한 반면, 가용성 오류는 예외에 속하는 “이라고 주장했다. 비교를 위한 정보와 근거의 가용성 불균형을 줄이는 것만으로, 혹은 자신의 노력과 기여에 대한 자기 평가 결과는 실제보다 항상 크다는 사실을 알것만으로 그 잘못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다.예를 들어 조직 구성원 간의 직무를 순환시키는 것은 조직 내의 유연성을 높이고 직무에 대한 권태와 단조로움을 줄일 뿐 아니라 각 직무를 위한 노력과 기여에 대한 가용성 불균형을 개선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남이 얼마나 많은 어떤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이렇게 가용성 오류 자체를 줄이는 노력과 함께 가용성 오류의 영향을 덜 받는 평가와 보상 체계의 도입도 고려할 수 있다. 가용성 오류가 발생하는 것은 자신과 다른 멤버를 비교할 때입니다. 그러므로 상대 평가를 통한 보상 체계가 절대 평가를 통한 보상 체계보다 가용성 오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개개인은 누구나 자신의 공헌을 과대 평가하기 때문에 상대 평가에 근거한 인사와 보상은 아무리 정확히 한다고 해도 분배 정의에 대한 구성원 간의 합의에는 이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대 평가를 써야 할 이유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절대 평가에 근거한 인사 및 보상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다른 구성원 또는 경쟁자의 성과를 비교하고 보상이 결정되는 제로 섬 게임 아니면 굳이 상대 평가를 통해서 보상에 대한 불만을 만들거나 구성원 간의 갈등을 조장할 이유가 없다. 가용성 오류를 덜 받는 평가와 보상 체계를 만들어 회사원들이 타인과 끊임없이 경쟁하고 비교되면서 겪는 괴로움을 좀 줄인다. 어차피 사람들은 정확하게 비교할 수 없기 때문이다. 출처 프리미엄 경영 잡지 DBR240호 집필자 김·유교무 정리 인터 비즈 조·쥰 이에 [email protected]다행히 해결책은 있다. 200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다니엘 카네만(Daniel Kahneman)은 대부분의 판단이나 결정 오류는 인간이 통제하는 것이 불가능한 반면 가용성 오류는 예외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비교를 위한 정보나 근거의 가용성 불균형만 줄일 뿐, 혹은 자신의 노력과 기여에 대한 자체 평가 결과는 실제보다 항상 크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 그 오류를 상당히 해소할 수 있다.예를 들어 조직 내 구성원 간의 직무를 순환시키는 것은 조직 내 유연성을 높이고 직무에 대한 권태와 단조로움을 줄일 뿐만 아니라 각 직무를 위한 노력과 기여에 대한 가용성 불균형을 개선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다른 사람이 얼마나 많고 어떤 의미 있는 일을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이처럼 가용성 오류 자체를 줄이는 노력과 함께 가용성 오류의 영향을 적게 받는 평가나 보상체계 도입도 고려할 수 있다. 가용성 오류가 발생하는 것은 자신과 다른 멤버를 비교할 때입니다. 따라서 상대평가를 통한 보상체계가 절대평가를 통한 보상체계보다 가용성 오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개개인은 누구나 자신의 공헌을 과대평가하기 때문에 상대평가에 기반한 인사와 보상은 아무리 정확하게 한다고 해도 분배정의에 대한 구성원 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대평가를 사용해야 할 이유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절대평가에 기반한 인사나 보상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다른 구성원 또는 경쟁자의 성과를 비교해 보상이 결정되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라면 굳이 상대평가를 통해 보상에 대한 불만을 만들거나 구성원 간 갈등을 조장할 이유가 없다. 가용성 오류를 적게 받는 평가와 보상체계를 만들어 직장인들이 타인과 끊임없는 경쟁하고 비교되면서 겪는 고통을 좀 덜자 어차피 사람들은 정확히 비교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출처 프리미엄 경영 매거진 DBR240호 집필자 김유겸 정리 인터비즈 조지윤 [email protected]휴리스틱(heuristic) : 직관적으로 판단한다.우리는 다른 사람을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거나 복잡한 수식에 대충 대답하는 등 어떤 문제에 직면해서… blog.naver.com휴리스틱(heuristic) : 직관적으로 판단한다.우리는 다른 사람을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거나 복잡한 수식에 대충 대답하는 등 어떤 문제에 직면해서… blog.naver.com재앙을 초래하는 판단의 함정 ②회상하기 쉬운 오류 인간은 선천적으로 불완전한 정보처리 능력에 의해 의사결정을 필요로 할 때 오류를 줄이기 때문에 소위 blog.naver.com재앙을 초래하는 판단의 함정 ②회상하기 쉬운 오류 인간은 선천적으로 불완전한 정보처리 능력에 의해 의사결정을 필요로 할 때 오류를 줄이기 때문에 소위 blog.naver.com재앙을 초래하는 판단의 함정 ②회상하기 쉬운 오류 인간은 선천적으로 불완전한 정보처리 능력에 의해 의사결정을 필요로 할 때 오류를 줄이기 때문에 소위 blog.naver.com